조남인은 실내 건축을 기반으로 공간과 가구, 오브제 작업을 전개하는 스튜디오 시몬조의 디렉터다. 딱딱하고 복잡한 창작의 경계를 허무는 방법을 구상하는 창작자로서, 형태보다는 재료의 본질을 탐구하고 모든 창작물에 간결함의 가치를 추구한다. 대표 작업으로는 한남동 아장스망 오피스, 서교동 디자인 스튜디오 더블디, 한남동 모네아트워크, 온양민속박물관 전시 등이 있다. 현재는 가구와 오브제 프로젝트를 하며 작가 활동도 병행한다.
건축가 조병수는 조병수건축연구소 대표로, 하버드 대학교와 독일 국립대학교 등의 대학에서 설계와 이론을 가르쳤고, 2014년에는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건축 잡지 <아키텍처럴 레코드>에서 '세계의 선도적 건축가 11인'에 선정된 바 있다. 2023년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을 맡았다. 오는 4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모스카파트너스 베리에이션MoscaPartners Variations 전시를 맡아 작업중이다.
아틀리에오(Atelier O)는 건축가 강지호 소장이 운영하는 건축설계 스튜디오로, 장소성과 명료함을 중심에 두고 구조와 재료의 본질을 드러내는 설계를 추구한다. 콘크리트 구조물, 노출 기둥, 수직의 동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각 층을 하나의 방처럼 사용하는 독특한 주거형 스튜디오 구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가파른 대지 조건을 해석해 층층마다 다른 경험을 주는 ‘YUL’ 프로젝트를 비롯해 제주 로스테이, 묵정동 근린생활시설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해 도시와 장소의 문맥에 맞는 건축을 구현하고 있다.일상과 구조, 공간의 언어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집을 설계하는 그는, 단순히 기능적이거나 아름답기만 한 공간이 아닌, 쓰임과 경험을 담은 ‘생활 구조체’를 제안한다.
김원천 소장이 이끄는 참우리건축사 사무소는,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건축을 지향한다. 좋은 집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궁리하는 건축가와 대한민국 최고 장인들의 손길로 격조 높은 집을 짓기 위해 노력한다. chamooree.com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 논텍스트를 이끌고 있다. 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natural context라는 이름의 뜻처럼 공예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자연스러운 맥락의 공간을 만든다. 대표 프로젝트로는 가수 오혁의 집, 래퍼 키드밀리의 집, 무신사 스탠다드 서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