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실내디자인을 전공한 정진욱·이유림 대표가 운영하는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 첫 프로젝트인 이치하우스로 개소했으며, iF 디자인 어워드 2023을 수상했다. 구옥 레노베이션, 스테이부터 상공간까지 다양한 작업을 통해 서로 다른 둘이 만나 이치에 맞는 것을 탐구하며 공간이 주는 영향을 고민한다. atelier-itch.com
아틀리에오(Atelier O)는 건축가 강지호 소장이 운영하는 건축설계 스튜디오로, 장소성과 명료함을 중심에 두고 구조와 재료의 본질을 드러내는 설계를 추구한다. 콘크리트 구조물, 노출 기둥, 수직의 동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각 층을 하나의 방처럼 사용하는 독특한 주거형 스튜디오 구성으로 주목을 받았다. 가파른 대지 조건을 해석해 층층마다 다른 경험을 주는 ‘YUL’ 프로젝트를 비롯해 제주 로스테이, 묵정동 근린생활시설 등 다양한 작업을 통해 도시와 장소의 문맥에 맞는 건축을 구현하고 있다.일상과 구조, 공간의 언어가 조화롭게 어우러진 집을 설계하는 그는, 단순히 기능적이거나 아름답기만 한 공간이 아닌, 쓰임과 경험을 담은 ‘생활 구조체’를 제안한다.
건축가 김대균은 착착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 대표로, 인문학적 가치와 보편타당한 섬세함의 실현을 목표로 다양한 콘텐츠와 협업하며 공간을 설계한다. 대표 작업으로 뤁스퀘어, 하우스비전 재배의집, 대흥사 유선여관, 천주교 서울대교구 역사관, 이상의집 레노베이션, 풍년빌라, zikm 한옥이 있다.
바이아키텍처byarchitecture를 이끄는 젊은 건축가. 집에 대한 튼실한 애정과 섬세한 조율을 바탕으로 편안하고, 아름다운 집을 만든다. 직선과 곡선을 적절히 섞고 동선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열고 막는 부분을 정밀하게 계산한다. 계단 아래쪽에 대리석 세 장을 쌓아 올려 기단을 만든 데서 보듯 눈과 몸으로 느끼는 감각의 변화를 오롯이 전달하는 데 관심이 많다. 홈페이지는 byarchitecture.kr, 이규헌 씨와 지은 집 소식은 인스타그램 @h21dream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건축가 조병수는 조병수건축연구소 대표로, 하버드 대학교와 독일 국립대학교 등의 대학에서 설계와 이론을 가르쳤고, 2014년에는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건축 잡지 <아키텍처럴 레코드>에서 '세계의 선도적 건축가 11인'에 선정된 바 있다. 2023년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을 맡았다. 오는 4월,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모스카파트너스 베리에이션MoscaPartners Variations 전시를 맡아 작업중이다.